Study :D/Ubuntu17.04(9)
-
bitnami 이용한 웹서버 구축
6.1일부터 코딩야학을 통해 웹 애플리케이션 만들기를 실시https://opentutorials.org/course/1688 생활코딩에서 학습한 내용을 토대로 작성 ※ 목적 : 무엇을 모르는지 모르는상태에서 무엇을 모르는지 아는 상태가 되어가는..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순서구상 (무엇을 만들지) -> 기획 (세부적 실행 계획) -> 디자인(편리성) -> 개발_Development -> 테스트 //반복(구상~테스트) * Start Small :/작게 시작해서 끊임없이 반복작업하자 기획도구-손 그림, pencil.evolus.vn , balsamiq.com bitnami 설치환경 : Unbuntu17.0 google 에 bitnami lamp 입력 후, 사이트에 들어가 LOCAL INSTALL 설치 # ..
2017.06.07 -
Docker 실습(이미지와 컨테이너 사용방법)
2017/05/24 - [Autonomy Study :D/Ubuntu17.04] - Docker 환경 ubuntu 17.04 lts 우분투에서 패키지로 직접 설치# sudo apt-get update# sudo apt-get install docker.io# sudo ln -sf /usr/bin/docker.io /usr/local/bin/docker -/usr/bin/docker.io 실행파일을 /usr/local/bin/docker로 링크해서 사용 Docker 서비스 실행하기# service docker start Docker명령은 docker run, docker push 처럼 docker 형식으로 실행해야한다.그리고 항상 root 권한으로 실행해야한다.기본적인 사용법을 알기위해 docker hub..
2017.05.24 -
Docker
2017.04.29 docker에 대해 공부하게되었다.* https://www.docker.com/
2017.05.24 -
궁금 configure, make, make install
소스 코드를 빌드할 때, `configure, make, make install`을 순서로 실행하는데,각 명령의 의미를 알아보자 참고 http://www.codecoffee.com/tipsforlinux/articles/27.html # ./configure쉘 파일 이름소프트웨어를 설치할 머신에 대한 정보를 확인현재 머신에 적합한 makefile 생성 # make현재 디렉토리의 makefile을 실행하는 명령여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지만, 기본적으로 소스를 컴파일하고, 실행가능한 파일을 만듬 # make install컴파일 후, 생성한 실행 가능한 파일을 머신 디렉토리로 복사한다. ※# ./configure && make && make install# ./configure;make;make install
2017.05.23 -
Ubuntu 웹서버 구축하기
우분투 웹서버 구축하기이다.먼저 우분투는 17.04 버전을 이용한다.우분투 링크 https://www.ubuntu.com/download/desktop 웹서버를 구축하기위해선 APM을 알아야한다.APM은 웹서버를 구성하는 주요도구인 Apahce, PHP, MySQL 을 묶어서 부르는 말이다.Apache는 웹서버프로그램, PHP는 웹 언어, MySQL은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이다.세가지를 한꺼번에 설치할수 있는 APMSetup 이 존재하지만, 우분투에선 그냥 따로 설치해서 서버를 구축해보겠다. Apache 설치> sudo apt-get install apache2 (※ sudo는 superuser로 실행한다는 뜻, sudo를 쓰기 귀찮다면 > sudo su 로 root 계정을 들어간 후에 명령어를 입력하면 ..
2017.04.24 -
Ubuntu 알아두자 명령어
웹서버 구축전에 명령어 몇개 알아보자 ● 리눅스 버전 체크> uname -a ● 우분투 버전 체크> cat /etc/issue*더 자세히>lsb_release -a ● 하드 용량> df -h ● 메모리> free -m ● Hostname설정- 호스트네임설정은 다중 서버 작업시 헷갈리지않으려고 사용서버 이름은 FQDN(Fully Qualified Domain Name)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. @뒤에 mush7oom-vir ~ 이 호스트네임이다. > vim /etc/hostname빈 파일이거나 나의 경우 mush7oom~이 있을것이다.여기를 변경해주자. 난 blog.mush7oom으로 변경했다.적용을 해야하므로> hostname -F /etc/hostname터미널 재접속을 하면 아래 사진과같이 @ 뒤가 변경..
2017.04.24